생활꿀팁

🏡 2025 재산세 알림 설정법 & 납부 요령 – 깜빡하면 가산세!

취미부자 김블리 2025. 6. 16. 20:39

📌 재산세, 왜 매년 헷갈릴까?


6~7월이 되면 매년 반복되는 풍경이 있습니다. “어? 재산세 납부 언제야?” “알림 문자 안 왔는데?” “내가 얼마 내야 하지?” …
사실 재산세는 납부 기간이 짧고, 고지서도 우편이 아니라 전자송달로 넘어간 경우 알림을 놓치기 쉽습니다. 그 결과? 가산세가 붙거나, 신용카드 할부 혜택을 놓치기도 하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일, 정확한 확인법, 그리고 모바일 알림 설정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 2025 재산세 납부일은 언제?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에 나뉘어 부과됩니다.

납부 대상 : 주택 1 기분 / 건축물 / 선박
납부 기간 : 2025년 7월 16일 ~ 7월 31일

납부 대상 : 주택 2 기분 / 토지
납부 기간 : 2025년 9월 16일 ~ 9월 30일

💡 주의: 주택은 전체 세액이 20만 원 이하인 경우 → 7월에 일괄 납부됩니다.

✍️ 납부 대상자
• 6월 1일 기준 부동산 소유자
• 아파트, 단독주택, 상가, 오피스텔 등 건물 소유자 포함


 

🔔 [STEP 1] 재산세 알림 설정하는 3가지 방법


1. 정부 24 – 전자 고지 신청

  • https://www.gov.kr 접속 → 로그인 → “지방세 전자송달” 검색
  • 신청하면 카카오톡/문자/이메일로 고지서 수신 가능

💡 혜택: 전자고지 신청 시 자동 500원~1000원 세액공제!

2. 위택스 앱 푸시 알림

  • 위택스 앱 설치 → ‘지방세 알림 서비스 신청’ 체크
  • 자동으로 납부 기한, 미납 안내까지 푸시로 받아볼 수 있음

3. 카카오페이 고지서 서비스

  • 카카오페이 홈 화면 > ‘고지서’ 탭 > ‘지방세 등록’
  • 본인 인증 후 연결 → 카카오톡으로 알림 받고 바로 납부 가능


💡 TIP: 토스, 페이코, 네이버페이 등도 연동 가능 – 사용자에게 익숙한 플랫폼 우선 선택 추천


💳 [STEP 2] 재산세 납부하는 가장 쉬운
방법

 

📱 모바일 납부 – 3분 컷!

  • 카카오페이, 토스, 위택스 앱에서 바로 납부 가능
  • 신용카드 할부 기능도 지원 (무이자 혜택 있는 카드사 확인 필수)

🖥️ PC 납부 – 홈택스 or 위택스

  • https://www.wetax.go.kr 접속 → ‘지방세 조회/납부’
  • 공인인증서 없이 간편 인증으로도 로그인 가능


💡 납부 즉시 전산 반영되어 연체 걱정 없음!


 

❗ 자주 묻는 질문 TOP 3

1. 고지서 안 받았는데 납부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 가산세 3% 발생, 미납액 이월되며 향후 압류까지 연결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기간 내 납부!

2. 납부 금액이 너무 높은데 분할 납부 안 되나요?


→ 원칙상 재산세는 분할 납부 불가, 다만 일부 지자체는 카드 무이자 할부 혜택 연계 가능

3. 본인이 소유자 아닌데 고지서가 와요!


→ 등기 말소 지연, 공동명의 등록 오류 등 확인 필요 → 시·군·구청 세무과에 문의

🧠 요약: 지금 해야 할 체크리스트

체크 항목

  • 정부24 전자 고지 신청
  • 위택스 앱 설치 및 알림 설정
  • 카카오페이/토스 고지서 연동
  • 납부 기간 달력에 표시 (7/16-7/31, 9/16-9/30)


💡 Tip: 구글캘린더나 네이버 캘린더에 반복 알림을 설정해 두면 매년 자동으로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귀찮음이 돈 되는 습관이 된다


재산세는 납부 자체보다, “잊어서 내지 못했을 때”가 진짜 문제입니다.
오늘 10분만 투자해서 전자 고지 신청, 푸시 알림 설정, 모바일 연동만 해두면,
앞으로는 세금 시즌에도 당황하지 않고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어요.